
한 과학자가 만든 비타민 열풍, 그 신화의 시작
암도 치료하고 병도 낫게 한다고? 만능물질 비타민 C 꼭 드세요!
혹자는 현대 식단에서 비타민 섭취는 불필요하다고 말하고 혹자는 건강보조제로서 기능하는 비타민 종합제는 먹어서 나쁠 것은 없다고 말한다. 다양한 제약회사는 건강기능식품, 건강보조식품으로 다양한 약품들을 만들고 있다. 그런데 유독 비타민 C
만큼은 감기 걸렸을 때도 먹으라고 하고, 암도 낫게 해준다고 하고, 수명을 향상시킨다고 하고… 도대체 비타민 C
는 무엇이길래 이런 다양한 말들이 존재하는걸까? 정말로 신의 물질인걸까?
비타민 C
가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된 것에는 노벨상
을 두 번이나 거머쥔 20세기 최고의 천재 과학자가 있다.
아마 눈치 챘겠지만 이번에도 어김없이 노벨수상자가 내뱉은 주장이 전세계를 무지성으로 만들었을 뿐이다. 여러번 강조해도 질리지 않다. 권위에 기대면 망하는거다.
1부: 바다의 재앙과 세기의 발견

대항해시대의 좀비 병, 괴혈병
비타민 C
의 이야기는 바다에서 시작된다. 15세기, 유럽의 탐험가들은 미지의 세계를 향해 돛을 올렸지만, 그들을 기다린 것은 신대륙의 황금만이 아니었다. 바로 괴혈병(Scurvy)
이라는 끔찍한 질병이었다. 몇 달간의 항해 끝에 선원들의 잇몸이 붓고 피가 나며, 이가 빠지고, 피부 아래에는 검붉은 반점이 피어났다. 상처는 아물지 않았고, 결국엔 내출혈로 죽어갔다. 수백 년간 괴혈병
은 수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바다 위의 재앙이었다.1
1747년, 영국 해군 군의관 제임스 린드
는 역사상 최초의 임상시험이라 할 만한 실험을 통해 감귤류
과일이 괴혈병
을 치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지만 정작 감귤류
과일의 어떤 성분이 괴혈병
을 치료하는지는 몰랐다. 뭐든지 작동만 하면 되지 굳이?
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듯이, 누구도 괴혈병
을 치료하는 물질이 무엇인지 알려고 하지도 않은 채 시간은 흐르고 있었다.
아 제가 발견한게 비타민 C였나요? 몰랐는디

카시미르 펑크 형님의 용안By Unknown photographer - scanned from Wielka Encyklopedia Powszechna PWN, Warsaw, Poland, 1964, vol. 4, page 55, https://commons.wikimedia.org/w/index.php?curid=8654708
필자가 보기에 당시에 영양소 결핍
이라는 개념을 정립한 사람은 바로 1912년, 카시미르 펑크(Casimir Funk)
형님(Big brother)이다. 이 형님은 폴란드 출신의 미국 과학자로 실제 영양소 결핍
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병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었다. 대항해시대 부터 스멀스멀 알게 된 영양소 결핍
에 대해서 정면으로 싸우면서 원인이 되는 물질을 찾기 위해서 난투극을 벌였다.2
이 형님이 수 년의 연구 끝에 구루병이나 기타 질병들이 아민(Amine)
기를 가지고 있는 어떠한 물질이 부족해서 생긴다는 것을 깨닫고는 생명에 필수적인 아민류 물질이라는 뜻으로 Vital amine
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했다. 그게 우리가 아는 비타민
의 시초가 되는 것이다!
1920년 Jack Cecil Drummond
라는 생화학자가 식단에 필수적인 영양소
중에서는 Amine
이 아닌 친구도 있다는 것을 예로 들어서 Vital amine
대신에 Vitamin
이라고 부르자고 제안했다.3
그의 발견 이후 열매 등을 갈아서 물
로 희석하거나 에탄올
로 희석하는 방식으로 물질 추출
을 시도했을 때 물
에 희석되는 미지의 물질 A, B, C
중에서 C
가 괴혈병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. 이후 이것의 이름은 Water soluble C
혹은 Vitamin C
가 된다. 하지만 역시 아직 비타민 C
를 발견했다고 할 수 없다. 이건 아직 그냥 물에 녹는다는 사실만 알아낸 것이니까 말이다!

알베르트 센트죄르지카리스마 있어… 이러지 과학자들이 뻑이가지By J.W. McGuire - http://profiles.nlm.nih.gov/WG/B/B/C/N/, https://commons.wikimedia.org/w/index.php?curid=3776664
재미있게도 정확하게 비타민 C
를 발견한건 비타민 연구자도 아니었다. 알베르트 센트죄르지(Albert Szent-Györgyi)
는 헝가리의 과학자로 그는 그저 “생물이 가진 산화-환원 시스템” 이 궁금했을 뿐인, 비타민에는 관심도 없는 사람이었다. 그가 1928년에 내놓은 논문을 보면 그는 소의 부신 피질에서 뽑아낸 어떠한 물질이 호르몬
도 아니고, 뭔가 특이한
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아주 강력한 항산화 기능
이 있다는 것으로만 논문을 냈다.4
당시에 센트죄르지
가 생각보다 영향력 있는 사람이었던 것 같은게, 1930년 정도의 항산화 시스템 연구하던 연구실은 죄다 센트죄르지
의 추출 방법을 따라했다고 기술했다.
센트죄르지
는 이 새로운 물질에 Cxii라는 임시 이름을 써놓고는 열심히 연구를 거듭했고 hexuronic acid
라는 이름을 붙였다. 운명의 장난처럼 그는 본인이 발견한 것이 비타민
의 한 종류라는 생각은 꿈에서도 못 한채 그저 강력한 항산화제
를 발견했다는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었다. 그가 발견한 물질이 비타민
이라는 것을 확인 받기 위해서는 결핍에 의해 질병이 발생함
을 꼭 검증해야만 했는데 그것은 센트죄르지
의 전공 분야도 아니고 관심도 아니었기 때문이다!
참 재밌는게 또 센트죄르지
는 부신 피질에서 이 항산화 물질을 분리하고서 신이 났는지 재빠르게 네이처 저널지에 Letter 형식으로 내가 발견한 물질 좀 보세요! 곧 심층 분석 끝내서 논문 내드릴게! 하는 식의 내용을 냈다.5

찰스 글렌 킹아쉽게 노벨상은 놓쳤지만 현대 영양학의 아버지 되시는 분이다.By http://books.nap.edu/openbook.php?record_id=11807&page=214, Fair use, https://en.wikipedia.org/w/index.php?curid=9236021
한편, 피츠버그 대학의 비타민 전문가 찰스 글렌 킹(Charles Glen King)
은 괴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이 미지의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레몬 주스와 사투를 벌이고 있었다. 그는 결국 레몬 주스에서 뽑아낸 어떠한 결정을 만들었고, 이것이 괴혈병을 치료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Letter를 Science 저널에 낸다.6
그런데 이게 참 재미있는 아이러니를 만들어낸다. 킹
의 연구실 소속 과학자인 조셉 스비어벨리(Joseph Svirbely) 는 센트죄르지
의 연구실에 교환 연구원 신분으로 합류해 있었는데 하필이면 센트죄르지
연구실이 분리했다는 강력한 항산화제가 킹
이 연구하던 미지의 물질(비타민 C
라고 생각되는)의 특성이랑 너무 겹치는 것을 본 것이다.

두 사람은 즉시 공동 연구에 착수하여 기니피그 실험을 통해 센트죄르지
가 발견했던 hexuronic acid
가 괴혈병을 완벽히 치료함을 증명했다. 1932년, 스비어벨리
를 제1저자로 한 이 역사적인 논문은 주된 내용이 "hexuronic acid
랑 비타민 C
랑 같은 물질인 것 같은데요?" 인 매우 놀랍고도 엄청난 논문이다. 센트죄르지
는 이 물질에 아스코르브산(Ascorbic acid)
, 즉 ‘괴혈병을 막는 산’ 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였다.
거의 동시에 찰스 킹
역시 비타민 C
분리 성공을 발표했지만, 센트죄르지
는 앞서서 이미 hexuronic acid
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었고 훌륭한 발견들을 다 이뤄낸 상태였다. 결국 이 공로를 중심으로 센트죄르지
는 193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.7
이렇게 같은 물질에 대해 탐구하더라도 관심이 다르면 평생 마주치지 않을 수도 있다. 과학계는 한 다리만 건너가면 전혀 모르는 분야인게 너무 당연하다.
2부: 신화의 탄생: 한 천재의 광적인 집착

라이너스 폴링의 모습화학 결합의 선구자이자 다학제에서 엄청난 업적을 이뤄낸 인물이시다.Linus Pauling, 1988. Image credit: Albert Dadian
비타민 C
를 단순한 영양소에서 만병통치약
의 아이콘으로 끌어올린 인물은 바로 라이너스 폴링(Linus Pauling)
이다. 노벨 화학상
과 노벨 평화상
을 단독으로 수상한 20세기 최고의 지성. 그의 말 한마디는 전 세계를 움직일 힘이 있었다. 그는 혼성 오비탈
이라는 것을 제안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
을 수상 받았고, 핵 실험 반대를 통해서 노벨 평화상
을 받았다. 뿐만 아니라 그는 다양한 분야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는데, 단백질 같은 생체분자도 화학 결합에 영향을 받고, 항체-항원에서도 단백질 끼리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어떤 식으로 이뤄지는지를 밝혔다. 그야말로 분야를 가리지 않고 엄청난 통찰력을 자랑하던 사람이었다.
물론 그라고해서 모든 것에 올바른 식견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. 대표적으로 그는 왓슨-크릭처럼 DNA 구조를 밝혀내려고 했으나 현재 DNA 구조와는 정반대로 안-밖이 뒤집힌 구조를 제안하거나, 3가닥 구조를 제안하기도 했다. 물론 3가닥 DNA 구조도 일부 맞긴 하다. 특정 상황에서 R-loop/D-loop와 같은 3가닥 구조가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. 폴링
이 주장했던 것은 평상 시에도 3가닥 구조라고 말하고 싶었던 것이겠지만 말이다. 물론 그건 틀린 말이다.
1970년, 그는 저서 <Vitamin C and Common Cold> 를 통해 충격적인 주장을 펼쳤다.8 하루 수천 밀리그램의 비타민 C
를 복용하는 메가도스(megadose)
요법이 감기를 예방하고 치료한다는 것이다. 그의 저서를 받아든 과학계는 강력하게 반발했다. 의외라고 생각할 수 있다, 언론에서는 과학계에서 의견이 분분하다는 것을 보도한 적이 없으니까. 어쨌든 학계에서는 그의 저서에 대해서 신랄하게 비판하는 리뷰9를 JAMA
에 싣기도 했으며 좀 더 검증이 필요하다는 편이 많았다.
폴링
은 이런 리뷰어들에 정면으로 반박하며 Letter 형식의 편지를 투고했고 우리는 이것을 지금도 볼 수 있다.10
그가
비타민 C
가 감기를 예방하고 치료까지 할 수 있다고 주장했던 근거는 아래와 같다.11
연구자 (Study) | 연구 대상 | 주요 결과 | 비판 및 한계점 |
---|---|---|---|
Ritzel12 | 스키 캠프 청소년 279명 | • 비타민 C 그룹은 17명이 감기 걸리고 위약(가짜 약) 복용 그룹은 31명이 걸렸으므로 감기 발병률 45% 감소다!• 비타민 C 복용 그룹은 31일 동안 질병에 걸렸다고 보고 했는데 위약 그룹은 80일이었으니 치료 효과가 있다!• 감기 증상을 점수화 했을 때 1.8점 vs 2.6점 으로 증상도 완화된다! | • 스키 타는 건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적절한 집단 선정이 아니다. • 임상시험으로서는 279명의 표본이 매우 작은 표본 수다. • 몸이 아픈 느낌, 피로감 같은 주관적인 증상 평가로 인한 편향 가능성이 있다.• Dykes와 Meier 라는 두 연구자는 해당 실험에 대해 정면으로 비판했다.13 |
Cowan, Diehl, Baker14 | 대학생 | • 비타민 C 복용 그룹은 병가낸 날이 1.1일이었는데 위약 복용 그룹은 1.6일이니까 31% 더 빨리 회복한다! | • 저자들은 스스로 “감기 발병 횟수 감소는 있었으나 유의미하지 않은 수준이다.” 라고 서술했다. • 비타민 C 복용 그룹에서 기관지염, 중이염, 부비동염 같은 증상 오히려 더 많이 보고 되었다. |
Wilson and Loh | 여학교 기숙사생 108명 | • 감기 발병률, 기간, 증상 심각도가 모두 유의하게 낮아졌다! | • 폴링 도 인정했지만 인용한 논문에서의 정확한 통계 처리 방식이 불분명 했다.• 저자가 ‘유의하다’ 고 했으니 막연하게 통계처리는 Two-tailed 방식으로, p-value 는 0.05 유의수준을 적용했을 것이라 추측하여 인용했다.11 |
Franz, Sands, Heyl15 | 의대생 및 간호학과 학생 98명 | • 심각한 감기 증상을 호소한 사람이 비타민 C 복용 그룹에서는 1명, 위약 복용 그룹에서는 8명 이므로 감기 증상이 완화된다! | • 저자 스스로 감기 예방 효과는 없다고 결론 지었고 더 빨리 낫기는 하는 듯? 이라고 했다. • 해당 실험은 투약 그룹을 4개로 나눈 것이라서 각 그룹당 20명 수준의 초소규모 실험이었다. • 심각한 감기 증상 이라는 기준이 매우 모호하다! |
폴링
의 주장을 뒷받침 하는 근거들이 하나같이 표본 수가 그룹 당 200명도 되지 않는 소규모 임상실험이었던 것이다. 사실 이게 가장 큰 맹점이었다. 이렇듯, 학계가 아프게 꼬집을만큼 그는 빈약한 근거를 가지고 비대한 꿈을 펼친 것이다. 근거라도 확실했다면 사람들이 그렇게까지 반발하지 않았으리라.
좋다,
폴링
이감기
에 대해서 주장했던 것들은 이해했다.그런데 현재 정설은 뭘까? 진짜비타민 C
는 예방 효과나 치료 효과가 없는 것일까?

2025년
기준으로 사실 아직도 감기와 비타민 C의 관계는 의견이 분분하다. 하지만 2013년
11,000 명 이상이 참여한 29개의 임상 시험을 토대로 광범위한 분석을 진행했을 때 일반인의 경우 비타민 C를 매일 먹어도 감기가 예방 되지는 않지만 운동선수나 군인 같은 스트레스 환경에서 주로 근무하는 사람은 비타민 C가 감기를 예방했다. (발병률 52% 감소)
동일한 분석 논문에서 예방
이 아니라 치료
방면을 보면, 비타민 C
를 지속적으로 섭취한 그룹은 성인의 경우 감기 지속 기간이 8% 감소 했고 어린이는 평균 14% 감소 했다. 또한 감기 증상에 대해서도 중증도 증상을 완화하는 경향이 있었으나, 감기가 걸리고 난 뒤 비타민을 섭취하는 것은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았다.16
동일한 연구자들이 2023년
최근에 다시 정리한 논문을 보면 예방에는 효과 없음에 대해 인정하기로 한 것인지, 중증도 완화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분석해서 낸 글이 있다. 결론적으로 평균 15% 정도 감기 증상은 완화되는 것을 확인했고, 감기의 지속성을 확인 했을 때는 가벼운 감기 증상의 경우 더 빨리 낫게 해주진 못 했지만 중증도 감기 증상의 경우에는 26% 더 기간을 단축 시켰다는 것이다.17
현재까지의 사례로는 비타민 C는 일반인에게는 딱히 도움이 안 되지만 그래도 심하게 앓는 기간을 어느 정도 줄여준다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다.
아하 그렇구나! 폴링
은 좀 과장했던 거구나. 감기에 대해 그렇게까지 할 일이었나? 하하 라며 넘어가면 참 좋겠지만 폴링
은 기어코 사고를 치고 만다… 그는 암을 비타민 C로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. 기존 감기에 대한 그의 애정은 그저 성급했던 일이라면 암 치료
에 대한 이야기는 앞뒤 근거를 거의 무시한채 이어가는 말이었다. 암 세포 치료
는 감기와는 다르게 고려해야할 것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. 단순히 암 세포
를 죽인다고 해서 암 치료 약물
이 되는 것이 아니다.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트에서 다루도록 하겠다. 하나도 합치기에는 상당히 방대한 내용을 다뤄야하기 때문이다.
폴링
성님의 발언 덕에 아직까지도 비타민 C
가 감기에 직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감기약
복용 대신, 비타민 C
를 섭취하는 사람이 많다. 절대 감기약을 대체할 수 있는 제품이 아니다. 폴링
성님이 만들어낸 말 한마디가 전세계를 혼란스럽게 한 것은 또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었기 때문에 다들 조심스러웠기 때문이리라. 필자가 감히 이야기하자면 비타민 C
는 감기에 쥐똥만큼 도움이 되겠지만 감기약
은 그냥 증상을 없애버린다고 이야기하겠다.
자, 길고 긴 이야기 서막이 끝났다. 다음에는 필자가 분노에 차올라서 작성하게 된 계기, 비타민 C와 암
의 관계에 대해서 이어가도록 하겠다. 이만 총총.
Kenneth J. Carpenter (1988) The History of scurvy & vitamin C ↩︎
Simon Spedding (2013) Vitamins are more Funky than Casimir thought ↩︎
Jack Cecil Drummond (1920) The Nomenclature of the so-called Accessory Food Factors (Vitamins) ↩︎
Albert Szent-Györgyi (1928) Observations on the function of peroxidase systems and the chemistry of the adrenal cortex ↩︎
Albert Szent-Györgyi (1927) The Chemistry of the Adrenal Cortex ↩︎
C.G. King and W.A. Waugh (1931) The Chemical Nature Of Vitamin C ↩︎
Linus Pauling (1970) Vitamin C and Common Cold ↩︎
Linus Pauling (1971) The Significance of the Evidence about Ascorbic Acid and the Common Cold ↩︎ ↩︎
Ritzel, Günther (1961) Critical evaluation of vitamin C as a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agent in colds ↩︎
M H Dykes, P Meier (1975) Ascorbic acid and the common cold. Evaluation of its efficacy and toxicity ↩︎
DONALD W. COWAN et al. (1942) VITAMINS FOR THE PREVENTION OF COLDS ↩︎
Warren L. Franz, M.D.; G. Winthrop Sands, M.D.; Henry L. Heyl, M.D. (1956) BLOOD ASCORBIC ACID LEVEL IN BIOFLAVONOID AND ASCORBIC ACID THERAPY OF COMMON COLD ↩︎
Harri Hemilä, Elizabeth Chalker (2013) Vitamin C for preventing and treating the common cold ↩︎
Harri Hemilä, Elizabeth Chalker (2023) Vitamin C reduces the severity of common colds: a meta-analysis ↩︎